자기주도적이란 말에 대해서

2016. 10. 31. 12:38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는지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거창하게 말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최근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교육의 영향에 의해서 시키는 것에만 익숙해지고 스스로 방향을 잡는 일을 잘 못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를테면 시험기간이 되어서 공부하는데 학교에서 시험의 주요사항을 강조해도 학원에서 쎈수학을 풀라고 하면 쎈수학을 아무생각없이 풀기만 한다는 것이죠. 

즉,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공부하여 실력을 올리기 보다는 시험준비를 하면 많은양의 문제를 풀기만 하면 마치 도움이되고 공부가 된 것처럼 생각을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 주도적이라는 말외에 좋은말이 없지만....



공부하기전에 자신이 할 양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 자신의 능력은 어느 수준인지 점검해보야야 합니다. 

 즉, 공부의 계획이 없이는 무엇을 어디까지 할 것인지 실제적으로 자신이 어느 정도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력상 몇문제가 몇시간내에 가능한지 정확히 점검할 수있다면 수학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나타라는 차로 자동차 경우에 나간다고 하면 마티즈로 경주에 나온 사람보다 자신의 차가 출력이 커서 어떻게 운전하면되는지 전체 코스중에서 어떻게 운행해서 해야 할지 방법을 알게될 것 입니다.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모르면 무엇을 해야 할지 계획이 없게 됩니다.


그리고 숙제를 하던지 아니면 자신이 스스로 수학공부를 시작하던지...

가장 중요한 것은 오늘 할 양이 무엇이고 언제까지 끝내야 하는가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입니다. 

너무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하려고 하면 깊은 생각을 하지 않고 답맞추기만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체크하여 다시 공부하거나 분석하고 선생님들에게 물어보고 공부할 것이 무엇인지를 체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