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신입직원 교육훈련의 중점과 교육훈련의 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전문기술 훈련이 주가 되는 반면 대기업은 리더십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전국 7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신입직원에 대한 교육훈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은 교육훈련의 중점을 '리더십 향상'(54.4%)에 두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전문기술 훈련'(43.2%)에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교육훈련 형태에 있어서도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경우 직장 선배의 멘토링을 통한 OJT 형식의 1:1 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이 4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러나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전문 사내강사를 통한 교육’이 49.5%로 가장 높았다.
신입직원 1인당 교육 훈련비용은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기업의 전체 인건비 대비 3.2%를 지출하고 있었으며,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전체 인건비의 5.3%를 활용하고 있어 기업 규모별로 교육훈련 비용이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필요한 교육훈련비 전액을 자체예산으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보험과 자체예산으로 충당한다는 응답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원의 교육훈련이 더욱 효과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육훈련 강화를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 개선 노력(31.8%), 직업훈련 관련 기관들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25.8%), 정부의 교육훈련 예산지원 (23.0%)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신입직원들의 빠른 직무적응도 향상 및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필수적인데 대부분의 기업들이 교육훈련 비를 대부분 자체예산으로 충당하고 있어 중소기업은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다"며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편 정부가 신입직원 교육훈련에 소요되는 예산을 지원 할 경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전국 7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신입직원에 대한 교육훈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은 교육훈련의 중점을 '리더십 향상'(54.4%)에 두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전문기술 훈련'(43.2%)에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교육훈련 형태에 있어서도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경우 직장 선배의 멘토링을 통한 OJT 형식의 1:1 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이 4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러나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전문 사내강사를 통한 교육’이 49.5%로 가장 높았다.
신입직원 1인당 교육 훈련비용은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기업의 전체 인건비 대비 3.2%를 지출하고 있었으며,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전체 인건비의 5.3%를 활용하고 있어 기업 규모별로 교육훈련 비용이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필요한 교육훈련비 전액을 자체예산으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보험과 자체예산으로 충당한다는 응답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원의 교육훈련이 더욱 효과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육훈련 강화를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 개선 노력(31.8%), 직업훈련 관련 기관들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25.8%), 정부의 교육훈련 예산지원 (23.0%)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신입직원들의 빠른 직무적응도 향상 및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필수적인데 대부분의 기업들이 교육훈련 비를 대부분 자체예산으로 충당하고 있어 중소기업은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다"며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편 정부가 신입직원 교육훈련에 소요되는 예산을 지원 할 경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